본문 바로가기
네 글자 이야기

"마부작침(磨斧作針)"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끈기의 지혜!

by 사자톡톡 2025. 4. 22.
반응형

마부작침(磨斧作針)

 

마부작침(磨斧作針),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  
> "끈기와 노력으로 불가능해 보이는 일도 이룰 수 있다."


 

마부작침(磨斧作針)의 유래

‘마부작침’은 중국 당나라 시기의 유명한 시인 이태백(李太白)의 일화에서 유래되었습니다.

젊은 시절의 이태백은 학문에 큰 소질이 있었지만,  
놀기를 좋아하고 공부에는 쉽게 싫증을 내는 성격이었습니다.  
어느 날, 공부를 포기한 채 책을 덮고 밖으로 나가 놀러 가던 이태백은  
강가에서 한 할머니가 큰 쇠도끼를 열심히 숫돌에 갈고 있는 모습을 발견했습니다.  

이태백은 호기심에 다가가 묻습니다.  
> "할머니, 도끼를 갈아서 무엇을 하시려고 하십니까?"  

할머니는 웃으며 대답했습니다.  
> "이 도끼를 갈아서 바늘을 만들려고 한다."  

이 말을 들은 이태백은 처음에는 터무니없는 생각이라 여겼지만,  
할머니가 도끼를 갈며 끊임없이 노력하는 모습에 깊이 감명받았습니다.  
그는 이 일을 계기로 무엇이든 꾸준히 노력하면 어떤 어려움도 극복할 수 있다는 교훈을 얻게 되었고,  
다시 학문에 전념하여 훗날 당대 최고의 시인이 되었던 것입니다.



마부작침(磨斧作針)의 뜻

▶ 갈 마(磨), 도끼 부(斧), 만들 작(作), 바늘 침(針)  
→ "도끼를 갈아 바늘을 만든다"는 뜻으로,  
꾸준한 노력과 끈기는 불가능해 보이는 목표도 이룰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.



뜻풀이

- 끈기와 지속적인 노력  
  → 아무리 어려운 일이라도 계속 도전하고 한 걸음씩 나아가면 마침내 성과를 얻을 수 있습니다.  

- 작은 성취의 힘  
  → 한 번에 큰 성과를 바라기보다, 작은 노력의 반복이 큰 변화를 만든다는 교훈을 줍니다.

- 포기하지 않는 태도의 중요성  
  → 중간에 포기하지 않고 끝까지 나아가는 의지가 성공을 좌우합니다.



요즘 말로 바꾸자면?

- “지금은 너무 멀게 보여도 꾸준히 하면 할 수 있어!"  
- “한 걸음씩 가다 보면 결국에는 도달할 거야. 이게 바로 마부작침이야.”  
- “포기하지 마. 노력이 쌓이다 보면 불가능도 현실이 돼.”



지금 우리 삶 속의 마부작침

예시 1: 공부에서의 마부작침  
- 수험생이 오랜 시간 동안 매일 조금씩 공부하며 목표한 시험에 합격하는 과정.  
→ "처음에는 어려웠지만 하루하루 쌓이니 결국 합격했어. 이게 바로 마부작침의 결과지."

예시 2: 직장에서의 성취  
- 입사 초반에는 미숙했던 업무도 노력과 반복을 통해 점차 능숙해지고 성과를 내는 경우.  
→ "처음엔 내가 이 일을 할 수 있을 거라고 생각도 못 했는데, 노력 끝에 해냈어. 마부작침이지 뭐."

예시 3: 운동이나 다이어트  
- 체중 감량이나 근육 만들기처럼 시간이 오래 걸리는 목표를 꾸준히 실천하여 이루어내는 사례.  
→ "아무리 해도 안 될 것 같았는데, 매일 조금씩 운동했더니 드디어 목표 체중까지 도달했어. 완전 마부작침이네."



이 사자성어가 주는 메시지  

마부작침은 단시간에 성과를 내지 못하더라도, 꾸준히 노력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려줍니다.  

1. 어려움 앞에 멈추지 마라   
   → 불가능처럼 보이는 일도 끈기 있게 계속 시도하면 언젠가는 이룰 수 있습니다.

2. 작은 노력이 쌓여 큰 결과를 만든다   
   → 한 번에 모든 것을 이루려고 하기보다, 작은 목표를 반복적으로 이루어나가는 것이 중요합니다.

3. 포기하지 않는 것이 가장 위대한 실력이다   
   → 능력이 부족해도 포기하지 않고 노력하는 것이 성공의 가장 큰 밑바탕이 될 수 있습니다.

삶은 단순하지 않고 때로는 어렵게 느껴질 때가 많습니다.  
하지만 마부작침의 정신으로 한 걸음씩 꾸준히 나아가는 것이  
결국 성공으로 가는 길이라는 사실을 잊지 마시길 바랍니다.



톡톡 사자 한마디  

- “작은 도끼도 갈다 보면 바늘이 될 수 있다.”   
- “끊임없는 노력은 결국 모든 것을 이루게 만든다.”

반응형